국제시스템

  • 자료실
  • 메뉴얼

메뉴얼&자료

[정보]CCTV 관련 용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국제시스템(주)    작성일15-08-03 18:06 조회4,759회

본문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기 위한 변조방법중의 하나.


PAN/TILT
CAMERA를 상하- 좌우- 회전하는 회전기로 감시범위를 확장하기위한 장비이며 카메라의 영상에 잡히지 않는 부분(사각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장비이다.


Paraxial Focus
근축초점. 근축광선에 따른 초점


Paraxial Ray
근축광선. 광축의 근처를 통과하고 광축과 작은 경사를 이루는 광선


PCM
PCM(pulse code modulation) 펄스부호 변조방식. 레코드나 라디오의 음성은 음의 강약을 그대로 전류의 강약으로 전달, 재생하는 아날로그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음의 강약을 1이나 0의 신호(1은 전류가 흐르고 0은 흐르지 않는)의 조합, 즉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서 보내는 것이 PCM이다. 전류가 인간의 맥박(pulse)과 같은 식으로 흐른다 해서 이 이름이 붙었다. PCM에서는 잡음이 극히 적은데, 예컨대 콤팩트 디스크가 레코드보다 흠이나 먼지에 강해 음질이 양호한 것은 연주를 PCM화한 광(光)디스크에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PCM은 39년 영국에서 발명되었으나 진공관,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소자를 대량으로 사용해야 했고 본격적으로 실용화된 것은 집적회로(IC)가 개발되고 난 뒤였다.


Peak To Peak
신호의 가장 Positive한 부분으로부터 가장 Negative한 부분가지의 진폭의 차이


Pixel(화소)
화상을 형성하는 최소의 단위로서, 화상은 명암이 있는 색의 점(도트)의 배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화소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은 영상을 얻을 수가 있다. 보통 총화소와 유효화소로 구분이 되는데 이것은 전체화소를 총화소로 부르고, 전체화소 중 실제 영상신호로 출력되는 부분의 화소를 말하는데 유효상원(상면)은 CCD소자가 렌즈를 통해 촬상된 부분 중 실제 영상신호로 출력되는 면적을 말한다.


Pinhole렌즈 (핀홀렌즈)
카메라를 몰래 숨겨서 사용하기 위해서 총알형태로 작은 크기로 만든 렌즈, 핀홀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를 핀홀카메라라고 한다. 해외에서는 Bullet Camera (총알형 카메라)라는 표현이 일반적이다.


Pre-position Lens
렌즈 제어기에 줌/포커스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가변 저항기(Potentiometer)를 사용하는 줌 렌즈. 사용자가 초기 설정 후에 줌/포커스를 매번 조정할 필요없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 화면을 빨리 볼수 있는 이점이 있다.